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사설] 65세이상 취업 청년 추월, 고령층 경제활력 순기능 살려야

65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 수가 사상 처음으로 청년층(15~29세)을 넘어섰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분기(4~6월) 65세 이상 취업자 수는 월평균 394만명으로 15~29세(380만7000명)보다 많아졌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89년 이후 처음이다. 1989년 1분기에는 청년층 취업자(487만4000명)가 65세 이상(38만2000명)의 13배에 육박했었다.

이같은 대역전의 근저에는 고령화가 자리한다. 고령층이 전체 인구의 20%에 육박할 정도로 커지면서 노후 대비를 위해 일하려는 고령자가 늘어난 결과다. 요즘 60·70대의 건강이 웬만한 청년층 못지않아 일하는 보람을 찾아 일터로 뛰어드는 ‘액티브 시니어’도 늘어나는 추세다. 세계 최악의 저출생에 따른 생산가능인구(15~64세) 감소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만큼 고령층의 경제활력을 높여 생산성 공백을 메울 방안을 찾아야 할 때다.

한국의 ‘고령층 취업 열풍’은 선진국 가운데서도 두드러진다. 65세 이상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지난 2022년 들어 37.3%로 집계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국 가운데 1위로 올라섰다. 이어 아이슬란드(32.6%)와 일본(25.6%), 뉴질랜드(25.2%) 등 순이었다. 지난달에는 이 수치가 40%까지 올라갔다. 고령층 10명 가운데 4명이 취업했거나 취업하지 않았더라도 일하려고 구직 활동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선진국 최고 수준의 노인빈곤율(2020년 40.4%)이 배경에 있다. 정년이 60세인 한국에선 정년퇴직 이후 최소 3년(1961~1964년생 기준)에 달하는 ‘소득 크레바스’가 생긴다. 69년생부터는 시차가 5년으로 늘어난다. 연금을 받는다 해도, 그 액수가 생계비를 충당하는데 턱없이 모자란다. 2022년 기준 65세 이상의 연금 수급액은 월평균 65만원에 불과하다.

통계청 인구 추계로는 2050년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40%를 넘어선다고 한다. 복지·연금에 기대는 인구가 이렇게 늘어나면 국가 재정이 버틸 수 없다. 가장 좋은 해결책은 일자리인데 평생 해왔던 일을 정년 후 급여가 줄더라도 지킬 수 있다면 최선이다. 우리 보다 한참 앞선 2007년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비율 20% 이상)에 진입한 일본은 이 길을 가고 있다. 일본은 2000년부터 60세 정년을 맞은 근로자가 희망할 경우 65세까지 일할 수 있도록 의무화했고, 2021년에는 근로자가 70세까지 일할 수 있도록 기업이 정년 연장과 재고용 등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의무 조항을 신설했다.우리도 고령층이 30~40년 쌓은 전문성을 살려 사회 전체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길을 터야 한다.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