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아마존 시총 2조달러 돌파…뉴욕증시 상승 마감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시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직원이 일하고 있다. [로이터]

[헤럴드경제=김빛나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의 시가총액이 26일(현지시간) 처음으로 2조달러에 진입했다. 미국 기업 중 역대 다섯 번째다. 이날 기술주 강세에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일제히 상승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26일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5.64포인트(0.04%) 오른 3만9127.80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0.16%포인트 상승한 5477.90,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87.50포인트(0.49%) 뛴 17,805.16에 장을 마쳤다. 모처럼 세 지수 동반 상승세로 장을 마쳤다.

이날은 시장에 큰 이슈가 없었음에도 각 기업이 상승세를 이어갔다. 기업별로 개별 장세가 펼쳐진 가운데 주요 기술주 7곳을 가리키는‘매그니피센트7(M7)’은 알파벳을 제외하곤 모두 올랐다.

이 가운데 아마존은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 2조달러를 돌파하며 새로운 이정표를 썼다. 이날 아마존 주가는 전일 대비 3.9% 오른 193.6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시총 규모는 2조148억달러로 집계됐다. 아마존은 2018년 9월 애플에 이어 미국 기업 중 2번째로 시총 1조달러를 달성한 바 있다.

아마존에 앞서 시총 2조달러를 돌파한 미국 기업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알파벳까지 네 곳 뿐이다. 이 가운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는 시총 3조달러를 넘어섰다.

엔비디아는 이날 주주총회를 개최한 가운데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을 둘러싼 경쟁 현황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AI 반도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다며 “이미 기존의 게임 중심 기업에서 데이터 센터 중심 기업으로 변모했고 AI 상품에 대한 신규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테슬라도 전장 대비 4.81% 뛴 196.37달러에 장을 마쳤다. 미국 투자은행 스티펠이 테슬라의 목표 주가를 265달러로 제시했다는 소식에 낙관론이 테슬라 주가를 밀어 올렸다.

미국 전기차업체 리비안은 독일 거대 자동차그룹 폭스바겐으로부터 최대 50억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는 소식에 23% 넘게 급등했다.

미국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은 이날 장 마감 후 발표한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았지만, 매출 전망치가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에 그치면서 시간 외 거래에서 주가가 5% 넘게 하락하고 있다.

binn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