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형빌딩거래 전분기대비 47% 증가, 분기별 거래금액도 3조원 넘어
주택시장 규제 여파도 한몫
“시중의 갈 곳 잃은 유동자금 상업용 빌딩에 몰리는 추세”
서울 명동 일대 상가 밀집지역의 모습. [연합] |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과 공실률 증가 등 악재 속에서도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시중 유동성이 몰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권에서는 강남구에 가장 많은 수요가 집중된 가운데 서초구와 송파구, 마포구 등이 뒤를 이었다.
29일 리얼티코리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1000억원 미만의 중소형빌딩 거래량은 355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241건) 대비 47%가 급증했다. 올해 1·2분기 거래량인 388건에 육박하는 숫자다. 3분기 총 거래규모 역시 약 3조1700억원에 달해 작년(1조9400억원) 기록을 훌쩍 뛰어넘었다.
지난 5년 동안 기준 거래량과 금액 모두 가장 높은 것으로, 분기 마감 후 추가 신고가 이뤄지는 것을 감안하면 분기 합산 거래량은 400건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빌딩 금액대별 거래건수를 보면 ‘50억원 미만’이 170건으로 가장 많았고, ‘50억~100억원 미만’(104건)·‘100억~200억원 미만’(59건)·‘200억원 이상’(22건)의 순서를 기록했다. 반대로 거래규모를 보면 ‘200억원 이상’ 빌딩에서만 약 1조1800억원의 거래가 이뤄지면서 전체 구간 중에서 가장 비중이 높았다.
이와 관련 리얼티코리아는 “코로나19로 인한 내수·외부경기 악화로 시중의 갈 곳을 잃은 유동자금이 안전자산이라고 판단되는 부동산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면서 “여기에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대책으로 인해 주택에 비해 규제를 덜 받는 상업용 빌딩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경기 악화의 여파로 투자 수익률은 계속 낮아지는 추세다. 올해 3분기 중소형 빌딩의 각 자산유형별 평균수익률을 보면 분양상가가 4.06%를 기록하며 작년 같은 기간(4.80%) 대비 하락했다. 같은 기간 임대수익은 4.91%으로 3.71% 내려갔고, 투자수익(4.50%→2.34%)의 하락폭이 가장 컸다.
서울의 구별 거래상황을 보면 개인과 법인 모두 강남구에 대한 선호가 가장 높았다. 이번 분기 개인은 강남구에서 각각 39건의 중소형 빌딩을 매입했다. 이어 송파(25건)·서초(12건)·마포(9건) 등이 뒤를 이었다. 법인의 경우 역시 강남구가 55건으로 가장 많았고, 서초(18건)·송파(15건)·마포(9건)의 순서였다.
적지 않은 금융권 PB(프라이빗뱅커)들도 “아파트에 비해 규제가 상대적으로 적인 꼬마빌딩에 관심을 갖는 자산가들이 최근 부쩍 늘었다”고 귀띔하고 있다.
다만 지난 9월 29일부터 상가임대차보호법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4분기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 적지 않은 변수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개정안에 따르면 내년 3월 29일까지 임차인이 임대료를 연체하더라도 임대인이 임차인의 임대차 계약 개신 요구를 거절할 수 없고, 임대차 계약 또한 해지할 수 없다.
활발한 거래 시장과 달리 상가 공실이 늘어나고 임대료도 계속 떨어지는 추세다.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3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 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의 상가 공실률은 중대형이 평균 12.4%, 소규모가 6.5%로 전 분기 대비 각각 0.3%포인트, 0.5%포인트 증가했다.
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이 330㎡를 초과하는 중대형 상가의 경우 경북(18.6%)·세종(18.2%)·충북(17.6%) 등의 공실률이 전국 평균보다 높았고, 제주(6.7%)·서울(8.5%)·경기(9.0%) 등은 낮았다. 서울의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5.7%로 조사된 가운데 이태원(30.3%)과 명동(28.5%) 등은 심각한 상황인 것으로 조사됐다. 감정원 관계자는 “외국인 관광객이 급감하고 매출 타격이 큰 상권에서 폐업이 증가하며 공실률이 치솟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bigroot@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