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피할 수 없는 선택”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국민 공감대 얻는다
- 사용후핵연료관리핵심기술개발사업단, 과학기술과 인문학 소통 포럼
김경수 사용후핵연료관리핵심기술개발사업단장이 제3회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안전관리기술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용후핵연료관리핵심기술개발사업단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기술의 안전성을 널리 알리기 위한 국민과의 소통자리가 마련됐다.

사용후핵연료관리핵심기술개발사업단은 7일 서울 영등포 YP센터에서 ‘제3회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안전관리기술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사용후핵연료의 안전한 저장과 처분 기술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신뢰를 높이기 위해 한국행정학회와 협력하여 과학기술과 인문학적 관점에서 소통 방안을 모색했다.

김경수 사업단장은 개회사에서 “원자력의 지속가능성은 사용후 핵연료의 안전한 관리에 달려 있으며, 궁극적인 해결책은 처분장 부지의 안정적 확보에 있다”며 “사회적 수용성을 확보하려면 국민이 관리 기술의 안전성을 이해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밝혔다.

이영범 한국정책학회 회장은 “고준위 방폐물 관리의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단순히 기술적인 성취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소통을 통한 공감대 형성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안전한 저장과 처분 기술을 주제로 다양한 전문가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김기영 한국수력원자력 부장이 저장기술의 안전성을, 백민훈 한국원자력연구원 소장이 처분기술의 안전성을 소개했다. 박종수 숙명여대 교수는 국내외 방폐물 처분부지 선정 사례를 발표하며 국내 기술 개발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정주용 한국교통대 교수는 “관리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자들은 선진국의 기술개발 동향을 면밀히 살피고, 정부는 이를 안정적으로 지원하여 우리나라에 적합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성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는 “우리나라도 선도국과 같은 대형 지하연구시설 구축이 추진돼 고무적이며, 특별법 조속히 제정되어 부지를 제때 선정하길 바란다”고 시급함을 언급했다.

제3회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안전관리기술 포럼 라운드테이블에서 패널들이 토론하고 있다.[사용후핵연료관리핵심기술개발사업단 제공]

두 번째 세션에서는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긍정적인 소통 전략에 대해 전문가 의견이 제시됐다.

전세혁 아주대학교 박사는 원자력의 수용성, 이숙경 한국여성원자력전문인협회 회장은 그간의 고준위 방폐물 국민인식조사 사례를 소개했다.

이재학 한국원자력환경공단 본부장은 “장기적이고 쌍방향 소통이 중요하며, 투명한 정보 제공과 계층별 맞춤형 소통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라운드테이블에서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입장을 살펴보고, 사회적 수용성 향상 방안을 논의했다.

정재학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장은 “처분시설의 안전성을 두꺼운 문서가 아닌 쉽게 이해 가능한 도구로 제시”해야 수용성 향상이 가능할 것이라 주장했다. 홍문기 한국PR학회 회장은 “이해관계자의 관여도와 이해도와 속성에 따라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하고, ‘수용성’ 대신에 ‘원자력 관련 공중관계성’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nbgkoo@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