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데스크칼럼] ‘피크인가, 핑크인가’...복잡해진 중국의 이해

최근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드라마 ‘사랑의 이해’. 은행에 근무하는 남녀 직원의 러브라인이 주내용이다. 하지만 단순히 좋아하는 감정만으로 사랑은 이뤄지지 않는다. 학벌과 집안 배경 등 각기 다른 현실적 이해(利害)가 등장하며 스토리는 복잡해진다. 갈등을 겪으며 사랑의 이해(理解)에도 한발 더 다가간다.

갑자기 드라마를 언급한 이유는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이후 ‘중국’ 때문이다. 정치·경제적으로도 중국은 요즘 세계 이슈의 중심에 있다. 미-중 갈등이 깊어지고, 러-우크라 전쟁 속에 세계 각국의 동맹 간 대결구도가 명확해졌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한국에 사랑만큼 이해(理解)하기 어려운 대상이 됐다. 역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한·중은 애증의 관계를 이어왔다. 가장 최근까진 ‘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을 뜻하는 ‘안미경중(安美經中)’이 중국에 대한 무난한 이해였다. 사회주의국가지만 지정학적 위치, 인건비 등에서 생산기지로 적격이었다. 14억명의 거대한 소비시장으로서의 매력도 있었다.

중국은 한국의 최대 수출국이다. 하지만 지난해 대(對)중국 수출 비중은 22.8%로, 2020년(25.9%) 이후 계속 내림세다. 지난 1월엔 19.8%로 떨어졌다.

국제금융센터 분석자료에 따르면 중국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수입시장 점유율은 2020년까지 1위였지만 2021년부터 대만에 그 자리를 내줬다. 이제 한·중은 상호보완적 관계에서 세계 시장에서 경쟁하는 국가가 됐다. 중국의 수출이 늘수록 한국의 수출도 늘어나는 동조화도 갈수록 약화되고 있다. 지난해 한·중 각국의 10대 주력 수출품목 중 6개 품목이 겹쳤다.

최근 경제안보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정부나 기업 모두 대중국 전략이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대표적으로 반도체 분야에서 한국은 미국, 일본, 대만과 함께 ‘칩4 동맹’이 진행되고 있다. 미국의 수출통제로 당장 중국에 반도체장비 하나도 반입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크지만 중국에 생산기지를 둔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는 중국을 마냥 배척할 수만도 없다. 소비시장에서도 중국의 자국 기업 우선정책으로 한국 기업의 힘겨운 싸움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중국의 인구 정체와 함께 고성장 시대는 끝났다는 ‘피크 차이나(Peak China)’가 화두로 떠올랐다. 리오프닝 이후 중국 시장이 다시 회복될 것이라는 핑크빛 전망도 있다. 어디에 무게중심을 두느냐에 따라 대중국 (재)진입과 철수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현재로선 대부분 전문가는 코로나 기간 심화된 미-중 갈등을 포함해 달라진 여건으로 이전 수준으로의 회복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시각이다.

결론적으로 국내 기업의 중국 전략에 대한 재정비는 불가피해 보인다. 다만 방법과 시점이 관건이다. 출구 전략 역시 대책을 마련한 뒤 움직여야 한다. 인도와 베트남 등의 전략적 가치를 따져보면서 대안으로 고민하되 중국만의 특수성을 고려한 실리적 접근도 필요하다. 특히 반도체, 배터리에 필요한 광물 등 소재 분야에서 중국만이 가지는 공급망을 여전히 무시하긴 어렵다.

이제 중국에 대한 이해(理解)를 높이기 위해선 그 어느 때보다 고차방정식의 이해(利害)관계를 면밀히 따져봐야 한다. 서두르지 않되 냉철하고 신속하게.

happyday@heraldcorp.com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