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백남준,한국 대표작가..김수자 서도호는 해외서 모시는(?)스타
지난 10년간 한국현대미술계를 대표한 최고의 작가는 누구일까? 이같은 질문에 전문가들은 단연코 ‘예술 테러리스트’이자 미디어 아티스트인 백남준(1932-2006)을 1위로 꼽았다. 이미 20여년 전에 지금의 ’초고속정보미디어 사회’를 예견했던 백남준은 타계한지 5년이 넘었음에도 ‘막강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셈이다.

이같은 결과는 김달진미술연구소(소장 김달진)가 개소 10주년을 맞아 2000년 이후 한국미술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미술평론가, 큐레이터 등에게 시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드러났다. 연구소측은 100명에게 8개 문항을 의뢰했고, 이중 53명이 조사에 응했다. 연구소측은 3표까지 복수응답을 허용했다.

1위 백남준에 이어 전문가들은 김환기, 이우환, 박수근을 ‘한국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로 꼽았다. 5위에는 이중섭 권진규 박생광 오윤 박이소 등 작고작가와 김수자 서도호가 나란히 뽑혔다. 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은 ‘톱10’ 중 3명의 생존작가인 이우환, 김수자, 서도호는 모두 해외에 머물며 미국과 유럽을 무대로 왕성하게 활동 중인 작가라는 점. 글로벌시대를 맞아 좁은 국내가 아닌, 넓은 무대(해외)에서 평가받아야 함을 말해주는 결과인 셈이다. 

김수자_떠도는 도시들


서도호가 서울 청담동 하이트에 설치한 작업


응답자들은 한국현대미술의 간판스타로 비디오예술 등을 통해 예술의 표현범위를 확장시킨 백남준과, ‘한국추상미술 1세대 작가’인 김환기를 앞다퉈 높게 평가했다. 또 사후에 더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권진규, 박생광, 오윤, 박이소를 최고의 작가로 뽑았다.

한국 현대미술작가 중 ‘재조명해야 할 작가’를 묻는 설문에선 재미(在美) 요절작가 차학경(1951-82)이 압도적으로 1위(18표)에 올랐다. 부산 출생으로 11세 때 미국 하와이로 이민을 떠나,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에서 문학과 미술을 전공한 차학경은 문학 개념미술 퍼포먼스 비디오아트 등 다방면에 걸쳐 활동했다.

특히 언어에 뛰어나 ‘기관(Apparatus)’과 ‘받아쓰기(Dictee)’라는 저서를 펴냈고, 미국 문화예술계에서 비주류에 해당되는 아시아여성으로써 혁신적인 페미니즘미술을 제시했다. 결혼 직후(31세) 뉴욕의 주차장에서 괴한의 피습을 받아 요절하는 바람에 더이상 예술혼을 펼치지 못했으나 그의 저서 ‘Dictee’는 요즘도 미국 대학에서 교재로 채택되고 있다. 1992년 뉴욕의 휘트니미술관에서 그의 회고전이 열린데 반해 국내에선 지난 2003년 쌈지아트스페이스에서의 전시 외엔 크게 조명받지 못한 상태다.

2위에 오른 김구림(1936-)은 1950년대말 앙포르멜, 60년대 서정적 추상이후 플라스틱,기계부속, 비닐 등 버려진 재료로 매체 실험과 오브제작업을 펼치며 노년에 접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다각적인 미술실험을 거듭하고 있는 것이 높게 평가됐다. 최근들어 김구림은 음양사상을 기초로 동서양의 조화와 통합을 모색하는 다양한 작품을 내놓고 있다.

김구림과 함께 2위에 오른 박현기(1942-2000)는 한국 비디오미술의 선구자임에도 백남준의 그늘에 가려 별반 주목받지 못한 것이 ’다시 평가되야 할 작가’에 오르게 했다. 서구의 비디오예술이 기술에 탐닉하는데 비해 박현기는 동양의 정신문화를 표현하는 도구로 이를 해석한 것이 다르다. 따라서 그의 작업은 ’비디오 명상작업’으로 불린다. 이밖에 한국 최초의 행위예술가인 정찬승(1942-94), 조각가 출신이지만 저항을 추구해온 ‘반(反)조각가’ 이승택(1932-)이 4,5위에 링크됐다.

정연두 신작 adolescence. OCI미술관

차학경이 생전에 펼쳤던 개념적 퍼포먼스작업


2000년 이후 국내외적으로 활약이 두드러진 작가에는 김수자(19표), 서도호(18), 이우환(13), 정연두(12), 이불(9),이용백(9)이 각각 1~5위에 올랐다. 또 서용선(6), 양혜규(6) 배병우, 강익중, 전광영이 그 뒤를 이었다. 김수자는 베니스비엔날레를 비롯해 각종 비엔날레와 외국 미술관에서 전시를 펼쳤으며, 서도호는 현재 영국 런던의 국립미술관인 테이트 모던에 대형 설치작업을 선보이는 등 세계 주요미술관과 꾸준히 작업하고 있다. 또 2000년 이후 작고한 미술인(미술가, 화상, 이론가, 콜렉터, 행정가 등) 가운데 한국미술 발전에 공헌한 인물을 묻는 질문에는 백남준(45표), 이경성(평론가/36), 3위 박이소(23), 4위 김창실(화랑주/20), 5위 이원일(큐레이터/8)가 각각 올랐다.

이번 조사에선 ’45세이하 젊은 작가 중 향후 활동이 가장 기대되는 작가’에 대한 설문도 포함됐다. 그 결과 1~5위 정연두(17표), 박찬경(11), 양혜규(9), 이용백(9), 전준호(6)가 선정됐다. 이 중 정연두와 이용백은 ’해외에서 활동이 두드러진 작가’에도 이름을 올려 ’한국 현대미술을 이끄는 견인차’로 지목되고 있다.

한편 2000년 이후 가장 기획력이 돋보였던 전시로는 일본 등지에 산재해있어 접하기 힘들었던 보물급 불화를 700년 만에 들여와 전시했던 국립중앙박물관의 ’고려불화대전’(2010, 17표)이 1위에 선정됐다. 2위에는 15표를 획득한 국립현대미술관의 ’한국미술100년’전(2005,15표), 3위 2002광주비엔날레(기획 성완경), 4위 조선화원대전(2011/삼성미술관 리움) ,5위 미디어시티서울(2004/기획 윤진섭), 5위 2010광주비엔날레(기획 마시밀리아노 지오니) 5위 코리안랩소디(2011/삼성미술관 리움)가 각각 선정됐다.

2000년 이후 ‘한국미술 7대 변화와 이슈’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미술시장의 영향력 확대 ▷중국 현대미술의 부상 ▷미술 비평의 침체 ▷대안공간의 출현과 활성화 레지던스 프로그램의 확장 ▷박수근 이중섭 위작 시비 논란 ▷신정아 학력위조 구속 등을 꼽았다. 특히 2007년 한국 미술계는 최대 호황을 누리며 미술경매의 최고가 바람, 잘 팔리는 젊은 작가의 부상 등을 불러왔으나 위작파문, 비평의 부재 등의 문제점도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한국미술의 극복 과제’에 대해 전문가들은 ▷국가적 지원과 법적제도 보완 ▷미술시장의 투명화와 양도소득세 해결 ▷미술 아카이브의 개선과 해외 홍보 미술관의 기능 전문화 ▷미술 컬렉터의 다각화 ▷미술비평의 문화적 역량 강화 ▷중고교 미술교육 강화, 미술대학 교육 개혁을 꼽았다.

이영란 선임기자/yrlee@heraldcorp.com

<더 많은 미술전시정보를 원하시면 모바일 앱 ‘아트데이’를 다운받으세요>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