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2년만에 찾아온 환율 1000원 시대…‘양날의 칼’
2년 만에 찾아온 달러당 원화 환율 1000원 시대는 물가에는 득, 수출에는 해가 되는 ‘양날의 칼’이다. 원화값이 올라가 수입가격을 떨어뜨리면 물가 상승을 제어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수출기업 입장에서는 채산성을 맞추기 어려워진다.

현재 시장에서는 대체로 원화값이 1달러당 1060원선까지는 상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 정도 수준까지는 수출기업도 감내할 만한 수준이라는 게 시장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4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4.06원 내린 1086.50원으로 출발했다. 오전 한 때 달러당 원화 환율 하락폭은 5.1원에 달하기도 했다. 1100원 선이 깨진 이후 1090원 대도 빠른 속도로 무너져 내렸다. 지난달 중순 이후 우리나라 금융시장으로 해외자금이 빠르게 유입되고 있고, 외환당국도 이에 따른 환율 하락(원화 가치 상승)을 일부 용인하는 분위기다.

환율 하락은 수입 원자재가의 상대 가격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이명활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우리나라 물가는 유가, 원자재가 등 해외 공급 요인으로 인해 상당 부분 올라가고 있다”면서 “(외환)시장 수급에 의해 환율이 내려가는 것이라면 물가 안정에 도움이 된다”고 분석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7%에 달했다. 이 가운데 석유류 가격 상승률은 15.3%를 기록했다. 석유는 물론 곡물 등 주요 원자재의 국제 시세는 세계경기 회복 기대에 힘 입어 꾸준히 오르고 있다. 올 4월 이후에도 물가가 추가로 오를 가능성이 높다.

수출은 호황을 이어가고 있다. 올 3월 수출 증가율은 30%를 넘어섰다. 월별 수출 총액은 486억달러로 사상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무역수지(수출-수입) 흑자 행진도 14개월 이어졌다. 환율이 내려가면 세계시장에서 팔리는 우리나라 제품의 상대 가격이 올라가는 현상이 나타나고 그만큼 수출 경쟁력은 낮아진다.

물가 정책 운용에 비상이 걸린 정부는 ‘수출’보다 ‘물가’를 선택했다. 외환시장 수급 여건 역시 더이상 1100원대 환율을 이끌어가기 어려운 상황으로 가고 있다는 점도 감안됐다.

하지만 환율만으로 물가를 잡을 수 없다는 게 문제다. 우리나라 원화 가치가 올라가더라도 원자재 가격 상승률이 더 높다면 체감할 만한 물가 안정 효과는 기대하기 힘들다. 2년 만의 원/달러 환율 1000원 시대가 국내경제 여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쉽사리 예단하기 어려운 이유다.

<조현숙 기자 @oreilleneuve>
newear@heraldcorp.com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