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년간 전세값이 무려 11%나 급등하면서, 물가상승률인 4.5%를 훌쩍 넘어섰다.
급등한 전세값이 물가 상승률의 2.4배를 웃돈 것. 더욱이 전세가격 상승분이 향후 1~2년 간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는 만큼, 물가 불안이 장기화하고 가계 소비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4일 국민은행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달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117.4로 전년 동기보다 10.9%나 급등했다. 전년 2월 대비 1년 간 상승률은 2002년 이후 9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인 4.5%에 비해서는 2.4배를 넘었다.
한국은행 조사에 따르면 주택가격동향조사의 전세가격을 24개월(전세기간) 이동 평균하면, 소비자물가에 포함된 전세가격과 비슷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소비자물가에 포함되는 전세가격의 경우 조사대상이 전체 전세가구의 4%에 불과한데다 전세값 상승 시점이 아닌 전세계약 체결시점에서야 물가지표에 반영되기때문이다.
이에 따라 최근 전세가격 상승폭이 향후 1~2년새 소비자물가에 대부분 반영되면서 물가 불안을 부추길 것으로 우려된다. 소비자물가에서 집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10%에 달하고 있으며 전세는 6.6%를 차지하고 있다.
한은 관계자는 ”전세가격 상승률이 물가상승률을 뛰어 넘었다고 볼 수 있다“며 ”주택가격동향조사의 전세가격이 많이 뛰었다면 2년 정도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소비자물가에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전세가격이 물가에 포함되지만, 전세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한 금리인상은 자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전세자금 대출의 금리가 높아지면 전세금 인상으로 대출을 늘려야 하는 세입자들이 이중고에 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민 가계의 이자 부담이커지면 소비가 위축되는 역효과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보금자리주택의 임대 전환 등 공급 확대를 통해 급한 불을 끈 뒤 위축된 주택 매매 수요 회복 등 장기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현대경제연구원 임희정 연구위원은 “전세가격을 낮추기 위해서는 미분양 아파트를 전세물량으로 돌리거나 보금자리 주택을 임대로 돌리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며 “동시다발적인 주택 재개발 사업을 단계적으로 이뤄지도록 해 재개발 지역 주민들의 전세 수요를 분산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임 연구위원은 “전세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려면 주택가격이 올라서 집주인이 전세로 수익을 창출하려고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헤럴드 생생뉴스/onlinenews@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