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제1차 공정사회추진회의’ 주재 의미와 과제
부처별 구체 실천과제 제시레임덕 우려불식 여부 주목
17일 열린 ‘제1차 공정사회 추진회의’는 MB정부가 공정사회를 집권 후반기 국정이념으로 제시한 지 반년 만에 이를 부처별 실천과제 형태로 처음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특히 집권 4년차에 접어든 MB정부가 고물가와 전세난, 구제역, 정치권 갈등, 지역갈등, 남북회담 결렬 등 총체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이번 조치가 향후 국정운영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정권차원의 레임덕 우려를 불식시키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앞으로 공정사회 실천과제는 국무총리실에서 종합적으로 관리해나가고 각 부처가 민관협의체 등을 구성해 소관분야 과제에 대해 제도개혁과 관행ㆍ의식개선, 사회적 공감대 조성 등을 종합적으로 추진해나가기로 했다”면서 “또 공정사회 추진회의를 월 1회 개최해 부처별 과제 점검과 평가를 상시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명박 대통령이 17일 청와대 세종홀에서‘ 제1차 공정사회추진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정희조 기자/checho@heraldcorp.com |
공정사회는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에서 “공정한 사회야말로 대한민국 선진화의 윤리적ㆍ실천적 인프라”라고 밝힌 이후 사회 전반을 관통하는 시대정신으로 처음 등장했다.
이 대통령은 공정사회를 “출발과 과정에서 공평한 기회를 주되 결과에 대해서 스스로 책임지는 사회”로 규정하고 “청와대가 공정사회 실천의 출발점이자 중심이 되고 나 자신부터 돌아보겠다”면서 강한 의욕을 보였다.
그러나 무더기 낙마사태를 낳은 8ㆍ8개각 파동과 유명환 전 외교부장관의 자녀 특별채용 파문, 대기업 때리기 논란, 정치권과 기업에 대한 사정 의혹 등이 잇따르면서 공정사회는 닻을 올린 지 한 달도 못돼 ‘공허한 구호’, ‘포퓰리즘(인기영합주의)의 상징어’ 취급을 받았다.
이후 G20 서울 정상회의와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등으로 국정 현안에서 밀려났던 공정사회 이슈는 올 들어 집권 4년차 국정운영의 화두로 다시 자리잡았다.
양춘병 기자/ya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