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덴만 여명작전’을 계기로 ‘대양 해군’ 건설하자는 목소리가 재차 힘을 얻고 있다. 지난해 3월 천안함 폭침 사건이후 “연안도 지키지 못하면서 무슨 대양해군이냐”는 비판에 우리 해군이 내부적으로 대양해군이라는 구호를 쓰지 않기로 한지 10개월 만이다.
지난 21일 청해부대의 삼호주얼리호 인질 구출 성공으로 원양 해군력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 맞춰 대양해군을 건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먼저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원유철 한나라당 국회 국방위원장은 25일 한 라디오 방송에서 “우리나라 총 수입 물량의 95% 이상이 해양 수송로를 통해서 운반되고 있다”며 “(우리 해군이 우리 선박을 보호하는) 대양해군으로 자리 잡기 위해선 구축함 등 군함의 추가 건조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당장 “소말리아해협만 해도 수리와 정비 등을 위해 (구축함)한 두척이 추가로 필요하다”며 “앞으로 소말리아 해협뿐 아니라 말래카 해협에서도 안전한 해양 수송로 확보를 위해 4500t급의 구축함을 추가로 파견할 필요성이 큰 만큼, 향후 3~4년 안에 (구축함 추가 건조가) 완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지난 24일 청해부대의 ‘아덴만 여명 작전’ 경과 보고를 위해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간담회에서도 여야 의원들은 아덴만 해역에 대한 구축함 1척 추가파견 등을 포함한 원양 해군력 증강을 잇따라 제안했다. 송영선 의원은 “청해부대가 호송 작전과 대 해적작전을 함께 하다 보면 3000㎞를 커버하기엔 4500t급 구축함 하나로는 곤란한 만큼, 전력을 더 키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관진 국방장관은 이와 관련, “원해 작전이 가능한 4500t급 구축함은 6척 밖에 없어 1척이 추가로 나가면 한반도 방어임무에 제한이 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우선 1척으로 전력을 보강하고 대비하는 지혜를 모아야 할 때”라고 밝혔다. 다만 청해부대에 군수지원함을 파견하는 방안과 관련, “검토해볼 가치는 있다.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군 당국은 청해부대에 1차적으로 링스헬기 1대와 대터러장비를 보강하는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럴 경우 조종사와 정비요원, 저격수 등을 포함해 10여명의 인력이 증원된다.
천안함 사건 때 대양해군 건설에만 치중하다 연안 방어에 실패했다는 여론의 따가운 질타를 받은 군으로선 연안방어와 대양해군 건설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잡아야 하는 처지여서 조심스러울 수 밖에 없다. 군 관계자는 “당장 청해부대의 성과에 고무돼 전력 재배치 문제를 다시 검토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면서 “국익과 국민보호라는 원칙을 놓고 볼 때 연안방어와 원양작전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대우 기자@dewkim2>
dewkim@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