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의 자진 사퇴로 ‘낙마공화국’의 오명을 뒤집어 쓴 청와대가 후속 인사조치에 착수했다.
13일 청와대에 따르면 대통령실 정무라인이 국회 협력업무 강화에 나선 데 이어 홍보라인은 인사와 관련된 사설(개인적 의견)을 가급적 삼가자며 참모들에게 협조를 당부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더 이상의 인사파동은 집권 4년차 정부에 치명타라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고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당장 급한 불은 최중경, 정병국 두 장관 후보자의 청문회 무사통과와 감사원장 후속 인사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인사재앙을 더 이상 반복하지 않기 위한 인사 프로세스 개선의 과제가 남아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정 후보자의 낙마로, 임기를 2년 이상 남겨둔 MB정부에서 벌써 8명의 인사청문회 대상 고위공직 후보자가 ‘내정’의 꼬리표를 떼지 못한 채 자리를 물러났다. 노무현정부 5년동안 2명이 고배를 마셨다는 점을 감안할 때 현 정부의 위기감이 클 수 밖에 없다.
정 후보자의 사퇴 발표 직후 이명박 대통령이 인책 대상자로 거론된 임태희 대통령 실장을 직접 찾아가 재신임의사를 표시한 것도 이런 배경과 무관치 않다.
청와대 또 다른 관계자는 “국민의 눈높이가 과거와는 달리 몰라보게 높아졌다” 면서 “한 두명의 사람을 교체하는 것이 능사는 아니며 필요하다면 인사시스템을 다시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인사파동을 지켜보는 외부의 시각은 좀 다르다.
지난 8ㆍ8 개각 파동이후 인사청문 대상자의 자기검증서 항목을 150개에서 200개로 늘렸고 청와대 내부 모의청문회 제도까지 도입했지만 비슷한 파동이 재연됐다는 점에서 제도적 시스템보다는 현 정부의 인사스타일에 더 큰 문제가 있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익명을 요구한 정부 관계자는 “과거보다 엄격해진 국민여론도 그렇지만 인사 선정과정이 지나치게 폐쇄적이고, 일방적인 게 아니냐. 정치권과의 불통이 고착화하면서 필요이상의 갈등을 부추긴 측면도 있다” 면서 ‘폐쇄적 인사스타일’을 개선할 ‘열린 정치력’이 인사 개선의 관건이라고 주장했다.
전병헌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한 라디오에 출연해 “(저도 청와대 경험이 있는데) 청와대와 (여)당과의 관계가 상당히 소통이 제대로 안되고 불협화음을 그대로 보여주는 장면이 연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양춘병 기자@madamr123>
yang@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