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구제역 전국 확산 … 신년 한국경제 발목잡나
5일까지 살처분 규모 82만두

보상금액만 7000억원 육박

백신비용 등 포함땐 1조 넘어


농가이어 가공, 요식업도 피해

지자체 민간행사 잇단 취소

관광, 레저산업 등도 큰 타격


구제역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 경제 전반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정부 재정만 1조원 이상 투입되고 , 축산가공ㆍ유통ㆍ관광 등 관련분야 파급영향까지 감안하면 그 피해는 수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 정부 재정만 1조원 이상 소요 = 구제역 살처분 두수는 5일 82만두를 넘어섰다. 지금까지 4차례 발생한 구제역으로 매몰된 전부 합친것보다 4배나 많다.

농림수산식품부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까지 살처처분 보상금만 7000억원에 달한다. 전국 접종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백신구입비’, ‘방역비’, ‘초소운영비’ 등은 빠진 액수다. 이를 감안하면 구제역이 당장 종식된다고 해도 1조원 이상은 소요될 수 있다.

특히 살처분 규모가 커질수록 늘어나는 성향이 있는 생계안정자금과 가축수매비용, 경영안전자금지원 등 후속지원성 자금까지 포함하면 정부가 책임져야할 재정 소요액은 이보다 훨씬 크게 늘어날 수 있다.

근례로 지난해 4월 경기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으로 총 4만9874두의 가축이 살처분 됐다. 당시 1242억원 가량의 국비가 쓰였다. 살처분 보상금과, 초소운영 방역비 등으로 900억원 이상이 소모됐고, 가축수매와 경영안정자금지원 등 지원성 자금으로 330억원 가까이가 들어갔다.

이번 구제역의 살처분 두수는 당시의 16배가 넘는다. 피해농가의 수도 10배를 훌쩍 넘는다. 단순 비례식으로 계산해도 약 1조9000억원 가량의 재정이 소요될 것으로 추잔된다.

▶ 소ㆍ돼지고기값 움직이나? = 민간의 경제적 피해도 클 것으로 보인다. 당장에는 축산업과 관련 가공업, 요식업 등의 타격이 예상된다.

지난해 11월말 기준으로 국내에서 사육되는 소와 돼지는 총 1400만두. 그간에는 구제역으로 인해 살처분 되는 소ㆍ돼지가 10만두 미만이었기 때문에 고기값이 움직이지 않았지만, 이번에는 좀 다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최근 구제역 상황 진척에 따른 향후 한우 및 돼지의 가격을 예상했다.구제역이 향후 2개월간 진행되고 총 100만두 이상이 살처분 될 경우에는 한우와 돼지고기 가격이 각각 9%, 10% 정도 하락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도축두수 감소와 이동제한 등으로 인한 공급감소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수요가 7~8% 가량 줄면서 가격을 끌어내릴 것이라는 시나리오다. 올해는 국제 사료가격의 급등이 진행되고 있어 이경우 축산농가와 관련 업계의 경제적 어려움는 상당히 커질 수 있다.

유통일선에서 보는 관측도 마찬가지다.

이마트 관계자는 “설에는 한우라는 인식과 함께 소비자들의 학습효과가 높고, 한우를 대체할 만한 갈치 등의 고급 어류가격이 조업부진으로 상당히 높게 형성되어 있어, 수요는 비교적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는 “당장보다는 오히려 설 연휴 이후에 소고기 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 관광,레져 산업도 타격 = 구제역 확산시 관광이나 레져산업 등도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역대 최고 피해로 꼽히는 지난 2001년 영국 에섹스주의 구제역에서도 축산업 못지 않게 타격을 받은 것이 관광업이다. 지자체가 관광객들의 진입을 차단하고 가축 매몰 장면등이 언론에 보도되면서 관광객이 크게 줄었다. 당시 영국 재무부는 구제역으로 인한 관광산업 피해액만 3조원에 육박한다고 추산했다.

이미 국내에서는 구제역으로 전국의 해맞이 행사들이 일제히 취소된데 이어 각종 지자체와 민간이 주최하는 축제와 문화 행사들도 잇달아 연기ㆍ취소되고 있다. 구제역 확산 방지 차원에서 주최측이 자발적으로 취소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용객들의 예약취소와 참여저조로 행사가 취소되는 경우도 다반사다.

매년 진행해온 충남지역의 한 마을축제는 5일 개막을 사흘 앞두고 취소를 결정했다. 행사관계자는 “구제역으로 차량접근이 어렵지 않느냐는 전화와 함게 팬션등에 대한 예약취소 문의가 잇다르는 등 분위기가 예년 같지 않다”고 전했다.

<홍승완 기자 @Redswanny>

swan@heraldcorp.com



연재 기사
많이 본 뉴스